반응형
2025 청년도약계좌
최대 5,000만원 목돈 마련, 핵심만 쏙쏙!
2025년,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나?
✅ 정부 기여금 대폭 확대
월 70만원 전액 납입 기준,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기여금을 지원받아 자산 형성 속도가 빨라집니다. 5년 만기 시 기존보다 최대 60만원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3년만 유지해도 비과세 + 기여금 혜택
급한 사정으로 중도에 해지해도, 3년 이상만 유지했다면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과 정부 기여금의 60%를 받을 수 있어 손실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.
✅ 급할 땐 '부분 인출' 가능
2년 이상 유지 시,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도 납입 원금의 40%까지 먼저 인출하여 긴급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생겼습니다. (2025년 하반기 시행)
✅ 성실납입 시 '신용점수' 상승
2년 이상, 800만원 이상 납입하면 개인 신용점수(NICE/KCB)가 5~10점 자동으로 올라가는 혜택이 추가되어 금융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.
나는 가입할 수 있을까? 가입 조건 확인
🎂
나이
만 19세 ~ 34세
(병역 이행 시 최대 6년 연장)
💼
개인소득
총급여 7,500만원 이하
(종합소득 6,300만원 이하)
👨👩👧👦
가구소득
기준 중위소득
250% 이하
💰
금융소득
금융소득 종합과세
미해당자
신청은 어떻게? 초간단 4단계 절차
1
가입 자격 확인
매월 정해진 기간
→
2
은행 앱에서 신청
11개 시중은행
→
3
소득 심사 진행
(서민금융진흥원)
→
4
계좌 개설 완료
심사 통과 후
다른 상품과 비교하면?
청년도약계좌는 기존 '청년희망적금'에 비해 가입 문턱은 낮추고 혜택은 더욱 강화한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. 장기적인 자산 형성에 더 유리하게 설계되었습니다.
구분 | 청년도약계좌 (2025) | 청년희망적금 (종료) |
---|---|---|
만기 | 5년 | 2년 |
월 납입 한도 | 70만원 | 50만원 |
개인 소득 | 7,500만원 이하 | 3,600만원 이하 |
가구 소득 | 중위소득 250% 이하 | 없음 |
핵심 혜택 | 정부기여금+비과세 +신용점수 가점 |
저축장려금+비과세 |
반응형
'재테크 >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: 소득기준과 서류 완벽 정리 (3) | 2025.06.10 |
---|---|
희망두배 청년통장 조건 및 지역별 통장 완벽 정리: 청년 자산형성 지원 사업 (2) | 2025.06.10 |
2025년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 신청 사용처 지급일 조건 정리 (8) | 2025.06.09 |
2025년 근로장려금 지급일, 신청기간, 금액 조회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6.09 |
미국 CPI 남들보다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( 인베스팅닷컴 아님 ) (0) | 2022.12.14 |